유저 제재
Last updated
Last updated
유저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기 위해 로그인 제한이나 특정 기능 이용 제한과 같은 제재 기능은 게임 운영에 매우 중요한 기능으로, 게임의 일관된 운영 전략의 실행을 위해 플랫폼에서 공통된 제재 정책을 구성하고 이를 게임과 연동하는 형태의 제재 서비스를 구성합니다.
IM Assemble의 제재 기능은 유저 별 제재 상태와 이력을 관리 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 되었습니다.
제재 상태와 이력 일원화 관리
IM Assemble 통합 관리툴을 통해 제재 상태와 이력을 조회하고 접속 제한을 처벌 할 수 있습니다.
를 통해 게임 혹은 GMTool에서 제재를 처벌/해제 할 수 있습니다.
기간제 제재 시작/종료 관리
유저 제재 정보 갱신 API 제작 가이드를 통해 제재 정보가 변경되면 게임서버에 알려드립니다.
유저별 제재에 따른 게임 내 알림이나 컨텐츠 제약 사항은 게임에서 직접 구현 하셔야 합니다.
게임 내 컨텐츠 제재(페널티)는 게임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요소가 필요 할 수 있으며, 제재 인게임 연동항목과 을 참고하여 게임 내 페널티 종류 별 제재 ID를 정의 하시고 공유 주시면 됩니다.
제재ID는 동일 제재 중복 처벌을 막기 위한 제재의 소분류를 구별하는 키 입니다.
사유ID는 게임 내 유저에게 노출 하는 메시지의 다국어 처리 등을 위해 사용하는 값이며, 게임에서 임의대로 지정이 가능합니다.
제재는 크게 접속을 차단하는 제한과 컨텐츠의 이용을 제한하는 페널티로 구별합니다.
제한은 일반적으로 모두 게임의 접속을 부분 혹은 전체적으로 차단하는 제재
페널티는 게임의 접속은 정상적으로 가능하지만 게임 컨텐츠의 일부의 이용을 제한 하며, 제한으로 인해 로그인이 불가능 한 경우 사실상 처벌되지 않는 제재
대분류: 제재에 대한 큰 범주
제재 유형: 각 제재 별 상세 유형
제재 내용: 제재의 처벌 내용
우선순위: 동일 대분류에서 유사한 제재가 중첩되어 처벌 중일 경우 실질적인 제한 실행은 우선순위가 높은 제재 만을 실행 한다.
TOP PRIORITY ONLY: 이미 동일한 제재가 처벌 중일 때 기간 추가 방식으로 추가 제재를 진행
STACKABLE: 이미 동일한 제재가 처벌 중인 경우 처벌이 추가 될 때 기간 중첩이 가능한 처벌 들과 함께 동시에 처벌이 진행 된다
제재는 기본적으로 모든 서버에 동시에 처벌되는 것이 기본이나, 운영정책에 따라 일부 제재가 특정 서버 군에만 처벌 될 수 있습니다.
게임서버에서 제재 내역을 조회 할 때 해당 서버군(Service ID)에 처벌 된 제재에 대해서만 전달 합니다. (만약 서버별 제재가 있을 경우)
접속 제한
게임 접속 제한
서버 계정 접속 제한
1
운영 정책 상 게임 이용 제한
TOP PRIORITY ONLY
1
접속 제한
게임 접속 제한
임시 제재
101
특정 서버에서 계정의 복구 나 해킹 보호를 위한 로그인 차단
TOP PRIORITY ONLY
2
게임 이용 페널티
게임 컨텐츠 제한
채팅 이용 제한
10001
999
게임 이용 페널티
게임 컨텐츠 제한
컨텐츠 이용 제한(던전 류)
10101
999
게임 이용 페널티
게임 컨텐츠 제한
자원 소비 제한(재화,아이템류 소모 제한)
10102
999
게임 이용 페널티
게임 컨텐츠 제한
자원 변화 제한(아이템 상태 변화 불가-구매/강화/돌파 등 제한)
10103
999
일반적으로 모든 제재는 제재 유형 별로 기간 추가 방식으로 가중 처벌을 실행하고 처벌 기간은 FIFO로 합산됩니다. TOP PRIORITY ONLY 인 제재 유형은 처벌 기간이 긴 상위 제재가 있는 경우 처벌을 시행하지 않습니다.
자동 해제
기간 경과 시 자동 해제
플랫폼 → 게임에 전달 된 제재 정보 중 TTL 발생
제재 해제
수동 해제
관리 툴에서 수동 해제
제재 내역 업데이트 필요 여부 플랫폼 → 게임에 전달
게임 → 플랫폼, 최신 제재 정보 조회
제재 내역 삭제 확인 혹은 (TTL 이전 사전 요청일 경우) TTL 일치 여부 확인 및 제재 해제
제재 정보 변경
제재 내역 변경 시
제재 내역 업데이트 필요 여부 플랫폼 → 게임에 전달
게임 → 플랫폼, 최신 제재 정보 조회
로그인 토큰 검증 시 resultCode
에 blocks
항목에 제재 정보가 포함됩니다.
게임에 접속 중인 유저의 차단을 위한 방안
서버에 접속 중인 유저에게 제재가 처벌되는 경우 제재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접속 제한 제재가 처벌된 유저 접속을 접속을 종료하는 "플랫폼 → 게임서버" 간 요청 API
컨텐츠 제재가 처벌된 유저의 제재 정보를 갱신하는 "플랫폼 → 게임서버" 간 요청 API
제재 내역 업데이트를 위한 플랫폼 → 게임서버간 통신 프로토콜 (IMID 기반으로 제재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글로벌 서버 전체 동시에 Operating Server에 발송)
자동 해제
기간 경과 시 자동 해제
플랫폼 → 게임에 전달 된 제재 정보 중 TTL 발생
제재 해제
수동 해제
관리 툴에서 수동 해제
제재 내역 업데이트 필요 여부 플랫폼 → 게임에 전달
게임 → 플랫폼, 최신 제재 정보 조회
제재 내역 삭제 확인 혹은 (TTL 이전 사전 요청일 경우) TTL 일치 여부 확인 및 제재 해제
제재 정보 변경
제재 내역 변경 시
제재 내역 업데이트 필요 여부 플랫폼 → 게임에 전달
게임 → 플랫폼, 최신 제재 정보 조회
게임 서버 → 플랫폼, 로그인 토큰 검증 시 제재 정보 전달
제재 ID, 상세 제재 내용, 제재 TTL(Due Date Timestamp) 반환
게임 내 제재 ID별 컨텐츠/자원소비/구매 제한
게임에 접속 중인 유저의 처벌을 위해 제재 정보 업데이트 요청 프로토콜 필요 (IMID 기반으로 제재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접속 서버의 Operating Server에 발송)
자동 해제
기간 경과 시 자동 해제
플랫폼 → 게임에 전달 된 제재 정보 중 TTL 발생
제재 해제
수동 해제
관리 툴에서 수동 해제
제재 내역 업데이트 필요 여부 플랫폼 → 게임에 전달
게임 → 플랫폼, 최신 제재 정보 조회
제재 내역 삭제 확인 혹은 (TTL 이전 사전 요청일 경우) TTL 일치 여부 확인 및 제재 해제
제재 정보 변경
제재 내역 변경 시
제재 내역 업데이트 필요 여부 플랫폼 → 게임에 전달
게임 → 플랫폼, 최신 제재 정보 조회
GM Tool에서 인벤토리 수정 등 유저 비 접속 상태에서 관리 해야 하는 항목을 구현하기 위해 보호 제재를 실행 할 수 있어야 하며, 제재 중에 짧은 시간(10분 내외) 임시 제재를 이용해 업데이트 중 유저의 접속을 제한 할 수 있다.
(/member/api-game/v1/auth/login/verify
) 호출 시점에 제재 정보를 전달 드립니다.